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68

2월 소비자물가 3.1% 상승 (사과 가격 급등)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3% 넘게 상승했습니다. 특히 사과, 귤 등 과일가격의 폭등세가 가장 큰 원인이었고 여기에 기름값까지 상승하면서 한 달 전(2.8%)보다 상승폭이 더 커졌습니다. 물가를 상승시킨 원인과 정부 대책에 대해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2월 소비자물가 3.1% 상승 원인 (사과 가격 급등) 6일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 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3.77(2020년=100)로 1년 전보다 3.1% 상승했습니다. 사과, 귤 등 과일 가격의 급등세가 물가 전반을 끌어올렸습니다. 사과는 병충해 등으로 수입이 안 돼 대체 과일을 찾기가 쉽지 않은 데다 냉해, 장마, 폭염 등 지난해 닥친 이상기후로 사과의 생산량이 줄면서 2월 가격이 1년 전보다 71% 뛰었습니다. 귤 가격 상승률은 78%.. 2024. 3. 7.
금값 상승 원인과 전망 (금 선물 사상 최고치) 미국 중앙은행(Fed)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커지면서 금 선물 가격이 사상 최초로 트로이온스당 2,100달러를 넘었습니다. 금값이 상승하게 된 원인과 전망에 대해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금 선물 사상 최고치 4일 뉴욕상업거래소에서 4월 인도분 금 선물 종가는 전 거래일 대비 1.5% 오른 트로이온스당 2126.30달러를 기록했습니다. 금값은 작년 12월 이후로 2개월여 만에 다시 역대 최고치를 찍었습니다. 금값 상승 원인 미국 정부의 부채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Fed가 금리까지 인하하면 달러화 가치가 하락하면서 상대적으로 금 가치가 상승할 것이란 전망입니다. 금, 비트코인 등 화폐 가치 하락의 헤지 수단으로 여겨지는 투자 자산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찍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는 의견입니다. 금값은.. 2024. 3. 6.
'홍채 등록' 월드코인 폭등, 국내 신규 지급 잠정 중단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선보인 월드코인의 국내 보유자가 5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개인 동의만 있으면 홍채를 수집할 수 있는 현행법의 빈틈을 파고들면서 빠르게 확산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홍채 정보를 대가로 시세 85만 원에 달하는 월드코인이 지급되면서 내국인의 생체 정보가 급속하게 유출되고 있다는 우려에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홍채 등록' 월드코인 폭등 4일 국내 암호화폐거래소 빗썸에 따르면 월드코인 보유자는 이날 오후 50,751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월드코인은 챗GPT 창시자인 올트먼이 지난해 7월 주도해 만든 암호화폐로, 인공지능(AI) 시대가 오면 홍채 정보를 통해 인간임을 인증한 이들에게 기본 소득을 지급하겠다는 구상으로 개발됐습니다. '오브'라는 기기를 통해 홍채 정보를 .. 2024. 3. 5.
비트코인 가격 상승 이유, 전망 비트코인 가격이 국내에서 사상 최고치를 찍었습니다. 비트코인 시가총액은 1조 1800억 달러로 늘어났고, 가상자산 전체 시총도 2조 달러를 웃돌았습니다. 비트코인의 가격 상승 이유와 전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비트코인 가격 사상 최고가 28일 국내 암호화폐거래소 업비트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이날 7.7% 상승한 8470만 원에 거래됐습니다. 2013년 국내 최초로 암호화폐거래소가 설립된 이후로 최고가입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6만 달러 선을 돌파했습니다. 비트코인 가격 상승 이유 비트코인 가격이 연일 치솟고 있는 이유는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거래량이 급격히 증가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입니다. 지난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비트코인도 주식처럼 쉽게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현물 ET.. 2024. 2. 29.
스웨덴, 나토(NATO) 가입 스웨덴이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NATO)에 가입했습니다. 이에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일부 지역을 다시 군이 관리하겠다고 하면서 긴장이 더해지고 있는데요.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스웨덴, 나토(NATO) 가입 헝가리 의회는 26일 찬성 188표, 반대 6표로 스웨덴이 NATO의 32번째 회원국으로 가입하는 안을 가결했습니다. 정식 가입은 이르면 다음 달 1일께 이뤄질 전망입니다. 스웨덴의 NATO 가입은 2022년 5월 신청 이후 1년 9개월 만입니다. 스웨덴과 함께 가입 신청한 핀란드는 지난해 4월 31번째 회원국으로 합류했습니다. 핀란드에 이어 스웨덴까지 가입하면서 NATO는 1991년 소련 붕괴로 동유럽 회원국들을 받아들인 이후 최대 규모로 커졌습니다. 특히 유럽의 전략적 요충지로 꼽히는 발트.. 2024. 2. 28.
엔비디아 전망, 성장 배경 (독주체제 계속될 수 있을까) 글로벌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Nvidia)는 지난 23일 뉴욕증시에서 반도체 기업 최초로 시가총액 2조 달러(약 2660조 원)를 돌파했습니다. 1년 전보다 매출 126%, 영업이익 311%나 증가한 덕분이었습니다. 엔비디아는 시가총액에서 구글, 아마존을 누르고 마이크로소프트(MS), 애플에 이어 3위에 올랐습니다. 애플과 MS가 시가총액 1조달러에서 2조 달러로 올리는 데 2년 가까이 걸린데 반해, 엔비디아는 8개월 만에 만들어냈습니다. 시장에서는 엔비디아의 독주체제가 지속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려 있는데요. 앞으로의 엔비디아 전망은 어떤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엔비디아 성장 배경 엔비디아의 시작은 3차원(3D) 그래픽카드 칩이었습니다. '지포스' 시리즈는 성능에 비해 가격이 저렴해 .. 2024. 2. 26.
반도체 랠리 속 한국 반도체주만 하락한 이유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의 상승세로 뉴욕 증시뿐만 아니라 유럽과 아시아의 증시도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습니다. 엔비디아와 함께 관련된 반도체주들도 일제히 상승세를 펼치고 있지만 유독 한국 반도체 관련주만 소외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요. 반도체 랠리가 펼쳐지고 있는 와중에 국내 반도체주만 소외되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한국 반도체주 주가 하락 2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RX반도체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09% 내린 3844.25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엔비디아를 필두로 각국 반도체 관련주가 급등한 것과는 상반된 모습입니다. 이날 SK하이닉스가 3.13% 상승한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약세를 보였습니다. 삼성전자 -0.27%, 한미반도체 -3.40%, 이수페타시스 -1.46%, .. 2024. 2. 24.
일본 증시 사상 최고 (닛케이지수 39000 돌파) 일본 증시의 대표 주가지수인 닛케이지수가 39,000선을 돌파하면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추가 상승에 대한 기대도 커지면서 연내 40,000선을 넘을 것이란 전망도 나왔습니다. 일본 증시가 상승하게 된 이유과 전망에 대해서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일본 증시 사상 최고 (닛케이지수 39000 돌파) 22일 닛케이지수는 39,098.86로 마감했습니다. 거품 경제 때인 1989년 12월 29일 기록했던 사상 최고치인 38,915.87을 넘겼습니다. 일본 증시는 자산 거품 붕괴와 미국 리먼브라더스 파산 쇼크로 인한 금융위기 등으로 2009년 7,000대까지 추락했습니다. 이후 2021년 12월 출범한 아베 신조 2기 내각이 증시 부양에 나서면서 점차 우상향 곡선을 그렸고, 올 들어 상승세가 두드러.. 2024. 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