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68

의대 증원 반대에 대한 정부 입장 의대 증원을 두고 의료계와 정부 사이의 대치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의대 증원이 없으면 전 국민의 건강보험료를 지금보다 3~4배 올려야 하는 상황이라는 입장입니다. 과거 의료계 집단행동이 매번 정부가 양보하면서 타협안이 나왔지만 이번에는 그 고리를 끊겠다는 정부 방침입니다.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의대 증원 반대에 대한 정부 입장 전국 의대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오는 25일 16개 의대 교수들이 사직서를 제출하고 집단행동에 동참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17일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은 "수가 인상만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면 건강보험료가 3~4배 이상 올라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윤석열 정부의 의료개혁안에 포함된 '의대 입학 정원 2000명 증원' 계획을 조정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박 차관은 ".. 2024. 3. 18.
국제 유가 전망, 상승 원인 국제 유가가 4개월 만에 배럴당 80달러 선을 돌파했습니다. WTI와 브렌트유 모두 작년 1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국제 유가가 상승하게 된 원인과 향후 국제 유가 전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국제 유가 80달러 돌파 14일 미국 뉴욕상업거래소에서 4월 인도 서부텍사스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1.54달러(1.93%) 상승한 배럴당 81.26달러에 마감했습니다. 북해산 브렌트유 4월물은 전 거래일보다 1.39달러(1.7%) 오른 배럴당 85.31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국제 유가 상승 원인 원유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유가를 끌어올렸습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올해 세계 원유 수요 증가분 전망치를 기존 하루 평균 120만 배럴에서 130만 배럴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IE.. 2024. 3. 16.
코스피지수 2700 돌파 원인 코스피지수가 1년 11개월 만에 2700선을 넘었습니다. 한국 증시의 등락을 좌우하는 반도체주가 주춤한 가운데 이룬 쾌거인데요. 코스피지수가 2700 돌파하도록 이끈 종목들과 원인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코스피지수 2700 돌파 코스피지수는 14일 0.94% 상승한 2718.76으로 마감했습니다. 2022년 4월 22일(2705.71) 이후 2700선을 넘어선 것은 처음입니다. 금융주, 조선주, 전력주 등 소외주가 시장 상승세를 이끌었습니다. 올해 들어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기대가 커지면서 지난해까지 존재감 없던 업종들이 상승세를 이끌었습니다. 코스피지수 상승 원인 14일 코스피지수가 2700을 돌파한 직접적인 원인은 국민연금공단 등 연기금들의 등판과 연초부터 외국인이 유례없는 규모로 국내 .. 2024. 3. 15.
엔화 환율 전망, 원엔 환율 800원대 100엔당 900원을 웃돌던 원엔 환율이 2월 들어 800원대로 다시 떨어지자 저점에 엔화를 매수하려는 투자 수요가 몰리면서 서 엔화예금 잔액이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습니다. 원엔 환율이 하락한 이유와 엔화 전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엔화예금 잔액 역대 최대 12일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은행의 엔화예금 잔액은 지난 2월 말 기준 1조 2129억엔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1월 말에 비해 5.5% 증가한 역대 최대 규모입니다. 지난해 말 한풀 꺾인 엔화 투자 수요는 올 들어 다시 늘어나고 있습니다. 원엔 환율이 100엔당 900원대였던 1월에는 엔화예금이 1.5%만 증가했지만, 2월 들어 역대 최대 기록을 갈아치울 정도로 엔화 매수세가 집중됐습니다. 원엔 환율 800원대 하락.. 2024. 3. 13.
한국 증시 전망 (코스피지수 한 달째 2600선) 코스피지수가 한 달째 2600선에서 머무르고 있습니다. 증권가에서는 증시를 이끌 뚜렷한 주도주가 없다 보니 2650선을 중심으로 등락을 반복하는 장세가 더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현재 코스피지수 상황과 전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코스피지수 한 달째 2600선 11일 코스피지수는 0.77% 하락한 2659.84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지난 8일 미국 인공지능(AI) 반도체 대표 종목인 엔비디아 주가가 5% 급락한 여파로 이날 삼성전자(-1.23%), SK하이닉스(-3.08%) 등 반도체 관련주가 일제히 약세를 보였습니다. 현대차(-3.75%), 삼성생명(-1.90%) 등 저주가순자산비율(PBR) 종목도 하락했습니다. 외국인 투자자와 기관투자가가 각각 1257억 원, 820억 원어치 팔았습니다.. 2024. 3. 12.
초콜릿 가격 인상 우려 (코코아 가격 사상 최고) 초콜릿의 주된 원료인 코코아 선물 가격이 최근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면서 식품 물가에 이어 초콜릿 가격까지 인상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코코아 가격 사상 최고 10일 식품산업통계정보에 따르면 미국 뉴욕 상품거래소에서 지난 주말 코코아 선물 가격(5월 인도분)은 t당 6,396달러를 기록했습니다. 한 달 전보다 10.2%, 연초 대비 49.6% 상승했습니다. 코코아 선물 가격은 지난 4일 6,586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기도 했습니다. 코코아 가격 인상 이유 원료가 되는 카카오 생산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코코아 가격이 급등했습니다. 전 세계 카카오의 약 70%는 가나, 코트디부아르, 나이지리아, 카메룬 등 4개국이 그동안 값싼 아동 노동에 의존하여 싼 가격에 카.. 2024. 3. 11.
1월 경상수지 흑자 (반도체, 자동차 수출 호조) 반도체와 자동차 수출 호조로 지난 1월 경상수지가 9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여행수지 적자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해외 배당소득이 크게 줄어들어 전월에 비해 흑자 폭이 절반 이상 축소됐습니다.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1월 경상수지 흑자 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1월 경상수지는 30억 5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한 달 전인 74억 1000만 달러보다는 흑자가 절반 이상 줄었지만 1년 전 42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한 것에 비하면 큰 폭으로 늘었습니다. 경상수지 흑자는 지난해 5월 이후 9개월 연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송재창 한은 금융통계부장은 "연말, 연초 계절적 요인으로 1월 경상수지 흑자 폭이 전월보다 축소됐으나 추세적으로 보면 작년 하반기부터 본격화한 수출 개선 흐름에 힘입어 .. 2024. 3. 9.
원달러 환율 하락 원인 (연내 미국 금리 인하 기대) 제롬 파월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의 연내 금리 인하 의사를 밝히면서 원달러 환율이 어제부터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그의 발언으로 금값과 증시, 유가까지 일제히 상승세를 탔는데요.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미국 금리 인하 기대 파월 의장은 6일 연방 하원 청문회에서 "경제가 예상 경로로 움직인다면 '올해 어느 시점'(at some point this year)에 현 긴축적인 통화정책을 되돌리는 완화책을 시작하는 게 적절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모건스탠리는 '올해 중반'(mid-year)이라고 한 것과 비교해 이번 발언이 비둘기적(긴축 완화 선호)인 것으로 해석했습니다. 파월 의장은 또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3.1%로 시장 추정치(2.9%)를 웃돈 것에 대해 언급 없이 "우리는 지난.. 2024. 3.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