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68 미국, 은행규제 강화 (도트-프랭크법 개정) 미국, 은행규제 강화 도트-프랭크법 개정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자산 규모 1000억~2500억달러 은행들에 대한 관리 감독을 다시 강화하라고 금융 당국에 지시했습니다. 최근 벌어진 실리콘밸리은행(SVB)과 시그니처은행의 파산 원인이 느슨해진 은행 감독에 있다고 보고 대응에 나선 것입니다. 바이든, 은행 규제 강화 30일 백악관은 "자산 1000억~2500억달러 규모 은행을 대상으로 이전 행정부가 완화한 규칙을 복원한다"며 이 같은 내용의 권고안을 발표했습니다. 백악관은 "불행하게도 트럼프 행정부의 규제 당국은 SVB와 시그니처은행 등 대형 지역은행에 대한 상식적인 요구사항과 감독을 약화했다"며 "은행 시스템을 강화하고 미국의 일자리와 중소기업을 보호하기 위해 이를 뒤바꿔야 한다는 것이 바이든 대통령의.. 2023. 4. 1. 퇴직연금 중도 인출 제한 (퇴직연금 정책 발표) 퇴직연금 중도 인출 제한 정부, 퇴직연금 정책 발표 정부가 300인 이상 사업장부터 순차적으로 퇴직연금 가입 의무화에 나섭니다. 퇴직연금 중도 인출을 최소화하는 방안도 추진합니다. 퇴직연금 정책 발표 고용노동부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은 30일 서울 여의도 금감원에서 '2023년도 퇴직연금 업무 설명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3년 퇴직연금 정책 및 감독 방향'을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상반기 안에 퇴직연금의 연금성·보장성 강화를 위한 '퇴직연금 기능 강화 방안'을 마련해 입법화하기로 했습니다. 퇴직연금 가입 현황 고용부에 따르면 퇴직연금 도입률은 2021년 기준 27.1%에 그치고 있습니다. 같은 해 수급을 개시한 퇴직연금 계좌 39만7170개 가운데 일시금으로 돈이 빠져나간 계좌는 38만2.. 2023. 3. 31. 일본 엔화 환율 전망 (엔화 강세 이유) 일본 엔화 환율 전망 엔화, 통화가치 상승률 1위 작년 하반기 통화 가치가 32년 만의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던 일본 엔화가 미국과 유럽의 금융시장 불안에 따른 반사이익으로 통화 가치가 주요국 통화 가운데 가장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엔화 가치 변동 추이 블룸버그통신은 "미국 달러와 스위스 프랑이 주춤하는 사이 엔화가 안전자산의 지위를 되찾고 있다"고 29일 보도했습니다. 지난해 달러 대비 엔화 가치는 24% 하락하면서 작년 9월 말 일본 재무성과 일본은행은 24년 만에 처음 엔화를 매수하는 방식으로 외환시장에 개입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0월 엔화 가치는 달러당 151엔까지 떨어지면서 32년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작년 말부터 조금씩 회복세를 타던 엔화 가치는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2023. 3. 31. 러시아 경제 침체 조짐 (러시아 물가 11% 폭등) 러시아 경제 침체 조짐 러시아 물가 11% 폭등 지난해 2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침공을 감행한 이후 원유와 천연가스 등 에너지 자원의 글로벌 가격이 요동쳤습니다. 에너지값 급등은 러시아 곳간을 불리는 결과를 낳았지만 전쟁 2년 차로 접어들면서 상황이 바뀌고 있습니다. 러시아 경제 위기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8일 "러시아의 고유가 호시절이 끝났다"며 "개전 이후 국제 사회의 각종 제재 대상이 된 러시아 경제가 벼랑 끝 위기에 몰렸다"고 전했습니다.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를 탈출한 전직 중앙은행 간부 알렉산드라 프로코펜코는 "러시아 경제가 장기 침체기에 접어들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러시아 경제 위기 배경 러시아 경제 위기의 가장 큰 이유로 에너지 가격 하락세가 꼽힙니다. .. 2023. 3. 30. 미국 증권사 '찰스슈와브' 스톡런 위기 미국 증권사 '찰스슈와브' 스톡런 위기 이달에만 주가 25% 하락 자산 규모 7조달러(약 9123조원)인 미국 증권사 찰스슈와브가 '스톡런'(증권 계좌 자금 유출) 위기에 놓였습니다. 최근 파산한 실리콘밸리은행(SVB)과 마찬가지로 투자 포트폴리오의 상당 부분을 장기 채권에 담았다가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규모 손실을 보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찰스슈와브 투자 손실 의혹 블룸버그는 28일 '저금리를 기반으로 건설된 7조달러 제국에 금이 가기 시작했다'는 제목의 기사를 실었습니다. 찰스슈와브는 2020년과 2021년 저금리 당시 장기 채권에 대거 투자했는데, 최근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으로 큰 손실을 보고 있다는 것입니다. 유동성 위기 가능성을 감지한 고객들은 찰스슈와브의 증권 계좌에 담아둔.. 2023. 3. 30. 미국, 바이낸스·자오창펑 제소 (비트코인 급락) 미국, 바이낸스·자오창펑 제소 비트코인 급락 미국 파생상품 규제 기관인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세계 최대 암호화폐거래소인 바이낸스와 자오창펑 최고경영자(CEO)를 제소했습니다. 혐의는 바이낸스가 미국인을 대상으로 불법 선물·옵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해왔다는 것입니다. 자금세탁 방지 규정을 위반하면서 내부 계좌를 이용한 시세조종에까지 직접 가담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바이낸스·자오창펑, 상품거래법 위반 혐의 CFTC는 바이낸스와 자오창펑을 상대로 미국 일리노이주 북부법원에 미등록 선물·옵션·스와프 거래 서비스 제공 및 자금세탁방지규정 위반 등 상품거래법(CEA) 위반 혐의로 소송을 제기했다고 28일 발표했습니다. 바이낸스가 CFTC에 파생상품 중개회사로 정식 등록하지 않고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상.. 2023. 3. 29. 애그플레이션 (식품 물가 폭등 원인, 엘니뇨 예고) 애그플레이션 식품 물가 폭등 원인, 엘니뇨 예고 세계 곳곳에서 식자재 가격 폭등 현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상기후로 인해 작황에 악영향을 주고 있는 데다 하반기에는 4년 만에 엘니뇨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제기돼 애그플레이션(농산물+인플레이션)이 또다시 부상할 것이라는 경고가 나오고 있습니다. 단호박 가격 급등 27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국내 대형마트에서 판매하는 뉴질랜드산 단호박 한 통(1.5~2.0kg) 가격은 7980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2.6배 급등했습니다. 지난달 뉴질랜드가 사이클론의 직격탄을 맞으면서 단호박 생산이 1년 전보다 50% 이상 급감한 영향입니다. 단호박은 전 세계 생산 국가에서 월별로 공급돼 1년 내내 안정적인 수급이 가능한 작물이지만 지난해 주요 생산국인 통가에서 화산 폭발, .. 2023. 3. 28. 이스라엘, 반정부 시위 (사법 개혁안 반발) 이스라엘, 반정부시위 사법 개혁안 반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대법원 권한을 축소하는 우파 연정의 사법 개혁안을 강행하다가 거센 반발에 부딪혔습니다. 반대 목소리를 낸 이스라엘 국방장관을 전격 해임하면서 이스라엘 곳곳에서 시위가 격화됐습니다. 이츠하크 헤르초그 대통령은 사법 개혁을 중단할 것을 요구했고 핵심 우방국인 미국마저 네타냐후 총리의 막무가내 행보에 우려를 표명하고 나섰습니다. 이스라엘 국방장관 해임 26일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이스라엘 총리실은 이날 성명을 통해 "네타냐후 총리가 요아브 갈란트 국방장관을 해임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전날 갈란트 장관은 TV연설을 통해 "정부의 사법 개혁안이 군부에 혼란을 초래해 안보에 위협이 되고 있다"며 입법 일정을 연기할 것을 촉구하며.. 2023. 3. 28.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