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68

금값 상승 (원인, 전망, 거래방법) 금값 상승 원인, 전망, 거래방법 글로벌 은행 위기와 경기 침체로 인해 금값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막바지에 다다랐다는 전망도 금 가격을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국제 금값 26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국제 금 가격이 이달 들어 4주 연속으로 주간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미국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금선물 가격은 지난 24일 트로이온스(약 31.1g)당 1983.8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2020년 8월 2075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찍었던 금선물은 작년 9월 '킹달러' 여파로 1600달러대까지 떨어졌다가 작년 말부터 다시 상승세를 탔습니다.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에 이어 크레디트스위스(CS) 매각 소식이 전해진 지난 20일엔 1년여 만에 처음으로 2000달러 선을 넘었습니다. 국내 .. 2023. 3. 27.
도이체방크 주가 급락 (유럽 은행권 위기) 도이체방크 주가 급락 유럽 은행권 위기 유럽 은행권 위기가 여전한 가운데 독일 최대 은행인 도이체방크의 주가가 급락했습니다. 크레디트스위스(CS) 위기 이후 유럽 은행의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도이체방크 주가 하락 24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도이체방크 주가는 독일 증시에서 이날 장중 15% 가까이 하락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초기인 2020년 3월 이후 가장 큰 낙폭으로, 한 달 사이에만 시가총액이 20% 감소했습니다. 도이체방크 주가 하락 이유 이날 도이체방크 주가가 추락한 건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이 치솟았기 때문입니다. CDS는 부도가 발생해 채권이나 대출 원리금을 돌려받지 못할 위험에 대비한 신용파생상품인데요.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도이체방크의 CDS 프리미엄 5년.. 2023. 3. 25.
미국, 기준금리 인상 (금리 전망) 미국, 기준금리 인상 베이비스텝 결정 배경 / 금리 전망 미국 중앙은행(Fed)이 기준금리를 2회 연속 0.25%포인트 인상했습니다. '은행발 위기'로 위축된 금융시장과 고물가 상황을 동시에 고려했다는 분석입니다. Fed, 기준금리 0.25%P 인상 Fed는 22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어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로써 미국 기준금리는 연 4.50%~4.75%에서 연 4.75~5.0%가 됐습니다. 연 3.5%인 한국 기준금리보다 1.25~1.5%포인트 높아졌습니다. 베이비스텝 결정 배경 제롬 파월 Fed 의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최근 은행 사태가 발생하기 전까지 인플레이션과 노동시장 데이터가 예상보다 강해 기준금리를 더 많이 인상할 필요가 있었.. 2023. 3. 24.
공동주택 공시가격 인하 공동주택 공시가격 인하 올해 아파트·다세대 등 공동주택의 공시가격이 대폭 하락하면서 재산세·종합부동산세 등 세 부담도 대폭 줄어들 전망입니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전국 공동주택(아파트·연립·다세대) 공시가격이 지난해보다 18.61% 내려간다고 22일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전국 공동주택 가격 하락률 15.59%에 2020년 수준인 69%의 현실화율을 적용한 결과입니다. 전국 주요 시·도 중 세종시의 공시가격이 전년 대비 30.68% 떨어지며 가장 크게 조정받습니다. 서울은 지난해보다 17.30% 낮아집니다. 송파구(-23.20%), 노원구(-23.11%)의 낙폭이 두드러졌고, 용산구(-8.19%), 서초구(-10.04%), 종로구(-11.15%)는 서울 평균보다 조정폭이 작았습니다. 올해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2023. 3. 23.
마크롱, 프랑스 연금개혁 성공 (한국의 연금개혁) 마크롱, 프랑스 연금개혁 성공 지지부진한 한국의 연금개혁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하원 표결을 건너뛰고 밀어붙인 연금개혁에 성공했습니다. 국민 70%의 반대를 무릅쓰고 연금개혁을 강행한 프랑스와 달리 한국에선 연금개혁이 지지부진한 상황입니다. 프랑스 연금개혁 프랑스 하원에서 20일 좌파연합 뉘프 등이 표결에 부친 첫 번째 내각 불신임안은 아홉 표 차이로 부결됐습니다. 뒤이어 극우 성향인 국민연합이 발의한 불신임안 역시 부결됐습니다. 이로써 연금개혁안은 헌법위원회 승인과 대통령 서명 절차를 거쳐 시행됩니다. 개혁안은 정년을 현행 62세에서 64세로 늦추고, 연금 수령을 위한 기여(보험료 납부) 기간을 42년에서 43년으로 늘리는 것이 핵심입니다. 대신 최소 연금 상한액을 최저임금의 75%에서 85%.. 2023. 3. 22.
UBS, CS 인수 (코코본드 전액 '휴지 조각') UBS, CS 인수코코본드 전액 '휴지 조각' 세계적인 투자은행(IB) 크레디트스위스(CS)는 UBS가 인수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크레디트스위스의 코코본드 가치가 0원으로 처리되면서 아시아 금융시장에까지 충격을 줬습니다. UBS, 크레디트스위스 인수스위스 1위 은행인 UBS는 19일 "크레디트스위스를 30억스위스프랑(약 4조2000억원)에 인수하기로 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인수 가격은 지난 17일 크레디트스위스 종가 기준 시가총액(약 74억3000만스위스프랑)의 절반 이하 수준입니다. 스위스중앙은행(SNB)은 이번 계약을 성사시키기 위해 최대 1000억스위스프랑을 유동성으로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이와 별도로 스위스 정부도 인수에 따른 UBS의 손실을 최대 90억스위스프랑까지 보상합니다. 블.. 2023. 3. 21.
ETP(상장지수상품) 특징, 전망, 주의할 점 ETP(상장지수상품) 특징, 전망, 주의할 점 ETF, ETN 투자 열풍 주가지수, 원자재 등을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는 상장지수상품(ETP) 시장 규모가 100조원을 돌파했습니다. 펀드에 있던 기존 투자금이 직접 투자가 가능한 ETP로 빠르게 옮겨가고 있습니다. ETP 투자 열풍 1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내 ETP 자산 총액은 지난달 말 100조145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올 들어서만 11조1425억원가량 불어날 만큼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예전 같으면 펀드에 쏠릴 만한 자금이 대부분 비슷한 유형의 ETP로 몰리고 있습니다. ETP 투자 열풍 이유 ETP가 주목받는 이유는 우선 '펀드에 대한 불신'이 커졌다는 것입니다. '고객의 수익률은 뒷전인채 수수료만 챙긴다'는 인식이 만연하고 있습니다... 2023. 3. 20.
MS, 엑셀·워드에 챗봇 '코파일럿' 탑재 MS, 엑셀·워드에 챗봇 '코파일럿' 탑재 마이크로소프트(MS)가 인공지능(AI) 챗봇 기술을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PPT) 등 생산성 소프트웨어에 장착합니다. 생성형 AI 경쟁이 기업에서 주로 활용하는 오피스 프로그램 등 생산성 분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MS365에 '코파일럿' 탑재 MS는 16일 '코파일럿'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AI 챗봇을 업무용 소프트웨어 제품군인 MS365에서 이용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아웃룩, 팀즈 등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생산성 소프트웨어에 챗GPT와 비슷한 AI 비서가 붙는다는 것입니다. 코파일럿의 주요 기능 코파일럿은 거대언어모델(LLM)을 기반으로 텍스트를 입력해 이미지를 생성하기도 하고 채팅으로 이용자와 폭넓은 대화를 나눌 수 있습니다.. 2023. 3.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