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68 메타·아마존의 1분기 실적과 전망 메타·아마존의 1분기 실적과 전망 아마존과 메타 등 미국 빅테크의 1분기 실적이 27일 예상보다 좋게 나왔지만 경기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 흐름은 여전했습니다. 지난해부터 이어온 대규모 인원 감축에 따른 '불황형 실적 랠리'라는 분석입니다. 실적 수치가 전망치보다 좋았을 뿐이지 성장률 둔화세가 확연한 점도 이 같은 분석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미국 빅테크 1분기 매출 증가 매타 실적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의 매출은 286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 상승했습니다. 메타는 1분기 매출 증가는 코로나19 봉쇄 완화로 중국 기업이 해외 거주 소비자를 대상으로 페이스북에 광고 지출을 늘린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뉴욕 증시에서 메타 주가는 전날보다 13.93% 급등한 238.56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2023. 4. 30. 부동산 시장 전망 (2023년 상반기) 부동산 시장 전망 (2023년 상반기) 올해 아파트 가격은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지만 최근 서울 서초 등 일부 지역에서 반등 거래가 나오고 있습니다. 서울 부동산 거래량은 작년 하반기보다 늘어나는 등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원자재 공급 불안, 공사비 인상을 둘러싼 갈등 등으로 분양 연기하는 사업장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급매물 소진 이후 선호도가 높은 지역 위주로 아파트값 회복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2분기 공급물량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전국에선 민간 아파트 98개 단지, 7만3171가구가 공급될 예정입니다. 경기에선 31개 단지, 2만 5012가구, 서울에선 11개 단지, 5224가구가 공급될 예정이고, 인천에서는 6개 단지, 5287가구가 분양될 .. 2023. 4. 29. 미국, 1분기 경제성장률 1.1% (R의 공포) 미국, 1분기 경제성장률 1.1% R(Recession)의 공포 미국의 1분기 경제성장률이 1%대에 그쳤습니다. 부진한 1분기 경제성장률에 이어 소비 감소 가능성,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이 촉발한 은행 위기 우려까지 겹치며 미국이 하반기에 경기침체를 맞을 것이라는 전망이 일고 있습니다. 미국 1분기 GDP 27일 공개된 미국의 1분기 GDP 증가율은 연율 1.1%로 시장 추정치 평균(2%)을 0.9%포인트 밑돌았습니다. 직전인 지난해 4분기(2.6%)와 비교해 볼 때 둔화세가 뚜렷합니다. 금리 영향을 많이 받는 민간 기업과 부동산 투자가 줄어든 것이 가장 큰 이유였습니다. 특히 민간 기업 투자는 1분기에 12.5% 줄어들었습니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물가 상승세를 잡기 위해 최근 1년 동안 고.. 2023. 4. 28. '워싱턴 선언'의 의미 (한·미 정상회담) '워싱턴 선언'의 의미 한·미 정상회담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한미정상회담을 하고 강화된 확장억제(핵우산) 방안을 담을 이른바 '워싱턴 선언' 채택에 합의했습니다. NATO가 운용하는 핵기획그룹(NPG)에 버금가는 확장억제 효과가 있을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이날 양국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미 군사동맹은 한 단계 격상되고, 미국을 중심으로 한 자유민주주의 진영과 중국, 러시아, 북한 등 상대 진영 간 경쟁 구도는 한층 더 뚜렷해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워싱턴선언' 채택 한·미 양국은 '한·미 간 핵협의그룹'(NCG·Nuclear Consultative Group)을 창설하기로 했다고 26일 밝혔습니다.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날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열린.. 2023. 4. 27. LVMH, 유럽 첫 시총 5000억달러 돌파 (LVMH 주가 전망) LVMH, 유럽 첫 시총 5000억달러 돌파LVMH 주가 전망 세계 최대 명품 기업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가 유럽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시가총액 5000억달러를 넘어섰습니다. 압도적인 브랜드 경쟁력과 중국 리오프닝(경기 재개) 효과에 유로화 강세까지 더해지며 1분기 호실적을 기록한 영향이었습니다. 월스트리트에서는 LVMH 주가가 1000유로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LVMH 주가24일 LVMH는 파리증권거래소에서 전장보다 0.9유로(0.1%) 오른 902.0유로에 장을 마쳤습니다. 이날 장중 904.6유로까지 오르며 시가총액이 4540억유로를 처음 돌파했습니다. 종가 기준 시가총액은 4528억유로로 달러로 환산하면 5005억달러입니다. 유럽 상장사 중 최초로 시총 5000억달러를 돌.. 2023. 4. 26. 금값 전망 (각국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 세계 각국 중앙은행들이 올해도 금 보유량을 늘릴 전망입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하고 미·중 갈등이 지속되면서 안전자산인 금 매입에 적극적으로 나섰다는 분석입니다. 월스트리트에서는 금값이 역대 최고치를 경신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각국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 23일 파이낸셜타임스(FT)는 세계금협회(WGC) 자료를 인용해 83개 중앙은행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 결과 3분의 2 이상이 올해 각국 중앙은행의 금 보유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미 지난해부터 중앙은행들은 금 매입에 열을 올려왔습니다. WGC에 따르면 세계 중앙은행들이 지난해 사들인 금의 양은 1136t으로 전년보다 152% 급증했습니다. 특히 비서구권 국가 중앙은행들의 금 보유량이 늘어났습니다. 중국 인민은행의.. 2023. 4. 25. G7, 러시아 수출 전면금지 추진 (러시아 보복 우려) 주요 7개국(G7)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대해 일부 품목을 제외하고 사실상 수출 금지를 전면 단행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습니다. 작년 2월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가 전황을 장기전으로 끌고 가자 서방 선진국들이 전쟁 종식을 위한 특단의 조치에 나선 것입니다. 서방 국가 대(對) 중국·러시아 간 '신냉전 블록화' 외교전도 격화하고 있습니다. G7, 러시아 수출 금지 검토 21일 일본 교도통신과 미국 블룸버그 등에 따르면 G7 정상회담을 앞두고 회원국 정부 관계자들이 러시아에 대한 새로운 제재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현재는 제재 대상 외에 모든 품목의 수출이 허용되는 '네거티브' 방식인데, 앞으로는 모든 수출을 원칙적으로 막되 한정된 품목만 허용하는 '포지티브' 방식으.. 2023. 4. 23. 한국, 수출 7개월째 감소 (악화 요인, 대책 방안) 이달 들어 20일까지 수출이 1년 전보다 11% 감소했습니다. 지금 추세라면 이달까지 7개월 연속으로 수출이 뒷걸음질 치고, 주력 품목인 반도체 수출은 9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한국 수출 21일 관세청의 수출입동향 발표에 따르면 이달 1~20일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 감소한 323억7000만달러로 집계됐습니다. 수출은 지난달까지 6개월 연속 감소했는데, 이달에도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 수출의 약 5분의 1을 차지하고 있는 반도체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39.3% 급감했습니다. 석유제품(-25.3%), 무선통신기기(-25.4%)도 20% 넘게 수출이 감소했습니다. 승용차(58.1%)와 선박(101.9%) 수출은 호조했지만 전체 흐름을 돌리기에는 역부족이었.. 2023. 4. 22.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