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와 전면전에 돌입하면서 세계 경제에 충격을 줄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국제 유가가 급등하면 인플레이션에 다시 기름을 부을 수 있어 반세기 만에 '오일쇼크'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오고 있습니다.
3차 오일쇼크 위기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지상전이 격화될 조짐이 보이자 지난 27일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2.8% 상승한 배럴당 85.54달러를 기록했습니다. 브렌트유도 2.9% 오른 배럴당 90.48달러에 마감했습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28일 하마스와의 전쟁이 2단계에 진입했다는 공식 발표로 국제 유가는 더욱 상승했습니다.
여기서 이란의 개입 여부가 중요해졌는데요.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전쟁이 미국과 이란 간의 전쟁으로 치달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이란산 원유에 제재를 가하면 유가는 단기간에 배럴당 100~110달러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습니다.
시장에서는 국제 유가가 배럴당 250달러까지 치솟을 수 있다는 경고도 나왔습니다. 이란이 세계 핵심 원유 운송 항로인 호르무즈해협을 봉쇄하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현실화하면 250달러 이상으로 오를 수 있다고 예상했습니다.
이번 분쟁이 새로운 오일쇼크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파티 비롤 국제에너지기구(IEA) 사무총장은 24일 '2023 세계 에너지 전망'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이 지역의 지정학적 위기는 1973년 이후 50년 만에 다시 오일 쇼크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각국 중앙은행의 난감한 상황
그동안 물가를 진정시켜온 중앙은행들은 국제 유가 상승으로 난감한 상황에 처할 수 있습니다. 메그나드 데사이 런던 정치경제대 명예교수는 "미국과 유럽의 인플레이션을 다시 두 자릿수로 끌어올릴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유가가 10% 상승하면 글로벌 인플레이션율이 약 0.4%포인트 오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금, 미국 국채 등 안전자산 선호
금과 미국 국채 등 안전자산의 투자 매력은 커지고 있습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27일 금 현물 가격은 전날보다 1.1% 상승한 트로이온스당 2006.37달러에 거래됐습니다. 금 현물 가격이 2000달러를 넘어선 건 올해 5월 이후 처음입니다.
미국 국채 가격이 상승(금리 하락)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UBS글로벌은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갈등이 고조되면서 미 국채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확전 조짐에 유가 출렁…세계 경제 '스태그플레이션' 빠지나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와 사실상 전면전에 돌입하면서 세계 경제에 암운이 드리우고 있다. 국제 유가 급등으로 진정되는 듯하던 인플레이션에 다시 기름을 부을 수 있어서다.
plus.hankyung.com
'최신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도체 랠리 속 한국 반도체주만 하락한 이유 (0) | 2024.02.24 |
---|---|
일본 증시 사상 최고 (닛케이지수 39000 돌파) (0) | 2024.02.23 |
6월 28일부터 '만 나이' 적용 (예외 사항) (0) | 2023.06.28 |
그리스, 미초타키스 재집권 (좌파 표퓰리즘 아닌 '경제 성장' 선택) (0) | 2023.06.27 |
러시아 용병 바그너그룹 쿠데타 시도 (시장에 미치는 영향) (0) | 2023.06.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