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상호관세 폭탄 - 삼성·LG 베트남 공장 비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 교역국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를 전격 발표하며 한국 산업계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특히 베트남 등 해외 생산기지를 기반으로 미국 수출을 이어오던 삼성전자, LG전자 등 주요 기업들은 공급망 재편을 본격 검토 중입니다. 상호관세 조치의 주요 내용과 파급 효과, 한국 기업들의 대응까지 자세히 정리했습니다.
목차
- 트럼프, 상호관세 전격 도입
- 한국에 26%…왜 더 높을까?
- 베트남 생산기지, 직격탄
- 의류 OEM 산업도 긴장
- 미국의 계산법, 합리적인가?
- FTA 무력화? 정부 대응은
- 공급망 재편, 현실로
트럼프, 상호관세 전격 도입
2025년 4월 2일,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미국 경제 독립선언’을 하며 상호관세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주요 대미 흑자국 57개국을 대상으로 국가별 상이한 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그 외 국가에는 10%의 기본관세를 적용하는 파격적인 조치였습니다. 이는 미국이 스스로 주도했던 자유무역 체제를 정면으로 뒤엎는 결정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한국에 26%…왜 더 높을까?
한국에는 일본(24%), EU(20%)보다 높은 26%의 상호관세가 매겨졌습니다. 이는 한국의 비관세 장벽이 높고, 자국산 자동차 비중이 80% 이상이라는 트럼프의 주장에 기반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의 무역적자와 비관세 장벽 문제를 지적하며, FTA 국가 중에서도 가장 높은 수준의 관세를 적용했습니다.
베트남 생산기지, 직격탄
베트남에는 무려 46%의 상호관세가 부과돼, 이곳에 대규모 생산기지를 두고 있는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한국 기업들이 큰 충격에 빠졌습니다. 삼성의 스마트폰은 절반가량이 베트남에서 제조되며, LG도 베트남 하이퐁 공장을 핵심 거점으로 운영 중입니다. 미국 수출 물량의 대부분이 베트남에서 출발하는 상황에서 관세 폭탄은 곧바로 실적 악화로 이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의류 OEM 산업도 긴장
한세실업, 영원무역, 세아상역 등 베트남에 기반을 둔 OEM 기업들도 예외가 아닙니다. 특히 한세실업은 베트남 생산 비중이 60%에 달해, 46%의 관세 적용은 치명타가 될 수 있습니다. 이들은 미국 수출 물량 축소 또는 생산 거점 다변화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계산법, 합리적인가?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상호관세율 산출 근거로 ‘무역적자 0을 위한 관세율’을 제시했지만, 실상은 무역적자를 해당국 수입액으로 나눈 값의 절반이라는 단순한 방식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과의 무역적자 660억달러 ÷ 수입액 1315억달러 ≒ 50%, 그 절반인 25%가 한국의 관세율로 결정된 셈입니다. 명확한 기준이나 국제 합의 없는 일방적 방식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FTA 무력화? 정부 대응은
이번 조치로 한미 FTA는 사실상 무력화 상태에 놓였습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글로벌 관세 전쟁이 현실이 됐다"며, 정부의 모든 역량을 동원해 협상에 나설 것임을 밝혔습니다. 현재 한국 정부는 백악관에 관세율의 정확한 수치를 문의 중이며, 외교적 대응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공급망 재편, 현실로
산업계는 미국, 멕시코, 캐나다가 포함된 USMCA 지역이나 기본관세(10%)만 적용되는 국가로 수출 물량을 옮기는 공급망 재편에 나서고 있습니다. 전자업계는 미국 의존도를 낮추고, 중남미 및 유럽 등으로 수출처를 다변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전략적 유연성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습니다.
(출처: 한국경제)
윤석열 대통령 탄핵, 4월 4일 헌재 선고 확정…파면 or 복귀?
윤석열 대통령 탄핵, 4월 4일 헌재 선고 확정...파면 or 복귀?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이 드디어 결론을 맞습니다. 헌법재판소는 오는 4월 4일 오전 11시, 윤 대통령의 파면 여부를 생중계를 통
1prorich.com
현대차 미국 공장 가동 | 연 120만 대 생산체제로 포드 추격
현대차 미국 공장 가동 | 연 120만 대 생산체제로 포드 추격현대자동차그룹이 미국에서 연 120만 대 생산 체제를 구축하며 포드를 본격적으로 추격합니다. 조지아주 엘라벨에 세운 '현대차그룹 메
1prorich.com
'최신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 3일 대선 확정 - 대통령 궐위 따른 조기선거 일정 총정리 (0) | 2025.04.08 |
---|---|
윤석열 대통령 파면, 탄핵 이유 5가지 정리 (0) | 2025.04.05 |
윤석열 대통령 탄핵, 4월 4일 헌재 선고 확정…파면 or 복귀? (0) | 2025.04.02 |
발란 기업회생 신청 | 명품 플랫폼 업계 위기 (0) | 2025.04.01 |
현대차 미국 공장 가동 | 연 120만 대 생산체제로 포드 추격 (0) | 2025.03.28 |
댓글